공주답사를 몇번이나왔어도 공산성을 둘러 본 것은 처음이었다. 처음이면서도 전체를 다 둘러 본 것이 아니라 아쉬움은 남았지만 오늘은 답사 목적이 아닌 처가 식구들과의 만남이었기에 이나마도 다행으로 생각하고 부지런히 돌아다녔다.
* 공산성의 유래 *
공산성은 백제시대 축성된 산성으로 백제 때에는 웅진성으로 불렸다가 고려시대 이후 공산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475년(문주왕 1) 한산성(漢山城)에서 웅진(熊津)으로 천도하였다가, 538년(성왕 16)에 부여로 천도할 때까지 5대 64년간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하여 축조한 것으로, 당시의 중심 산성이었다.
* 백제 문주왕 시절의 산성, 공산성 *
공주 시내 산성동에 있는 공산성은 백제 문주왕 1년(475)에 한산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였다가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천도할 때까지 5대 64년간의 도읍지인 공주를 수호하기 위하여 축조한 성이다. 사적 제12호인 공산성은 총 연장 2,660m의 고대 성곽으로 해발 110m의 능선에 위치하고 있는 자연의 요지이다.
동서로 약 800m, 남북으로 약 400m 정도의 장방형을 이루고 있다. 원래는 백제시대의 토성이었던 것을 조선시대 때 석성으로 다시 쌓은 것이다. 성 안에는 웅진 도읍기로 추정되는 왕궁지를 비롯해 백제시대 연못 2개소, 고려시대 때 창건한 영은사, 조선시대 인조대왕이 이괄의 난을 피해 머물렀던 쌍수정과 사적비, 남문인 진남루, 북문인 공북루 등이 남아 있다.
동문과 서문은 최근에 복원하였으며 주변에는 유유히 흐르는 금강과 울창한 숲이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고 있다. 오늘날 공산성은 역사와 문화가 함께 정이 깃든 수려한 자연이 있기 때문에 더욱 가치있게 보여지고 있다. 가족 단위, 부부, 연인들이 금강을 바라보며 한가롭게 산책할 성벽길이 있고 우거진 숲과 숲사이의 산책로가 있다. 계룡산과 차령산맥이 한눈에 들어오고 비단결 같은 금강이 발 아래에서 찰랑거린다.
* 공산성의 서문, 공산성 금서루 (공산성 서문지) *
서문은 본래 유지만 남아 있었으나, 최근 문루와 함께 새로운 형태로 문루의 복원이 이루어져 있다.
1975년의 보수에서는 양단의 기단만 축석하였을 뿐 누적은 복원되지 않은 채 남겨 놓았었다. 당시 복원된 기단부는 높이 4.4m, 너비 5-6m, 그리고 길이는 각각 17m로 조성하였는데 좌우 양단간의 간격은 7m의 범위였다. 본래 서문지의 형태는 정확한 확인이 어렵다. 문의 형태에 대하여 <여지도지>에서는 동,서문은 각각 3칸이란 기록을 남겨 놓고 있다. 서문지의 복원은 1990년에 이르러 본래의 문지에서 약간 남쪽으로 이동하여 3칸 규모의 고주 형태의 문루가 축조되었다. 비록 최근에 새로이 조성된 것이지만, 조선시대 성문의 문루 양식을 재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복원된 문루는 공산성 서쪽 성곽선에 연결되게 성선을 연결하면서 성의 입구를 개구식으로 내면서 그 위에 문루를 올린 상태이다. 더불어 본래의 문지는 성내의 출입시설로 사용되고 있으며 복원된 문루는 외형만 겸비하고 출입시설로 사용되지는 않는다. 본래 공산성 서문 문지의 복원은 이미 1975년에 성곽에 대한 보수공사를 겸하여 실시한바 있다.
누각(樓閣)과 정자(亭子) 그리고 대(臺)
누각(樓閣)과 정자(亭子)의 차이는 너무나 간단명료하다.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벽을 없앤 1층짜리 건물이 정자이고 2층짜리 건물이 누각이다. 그런데 1층이냐 2층이냐도 구분하기 쉽지 않다. 전통 건물의 경우 통풍을 위해 지면에서 어느 정도 공간을 확보한 후 짓는 게 보통이다. 당연히 정자 역시 땅에 붙여 명명 백백 1층임이 드러내는 경우는 드물다. 그래서 누정을 구분할 때 보통 사람의 키보다 높으면 2층으로 보고 그렇지 않으면 1층으로 본다.
누각과 정자의 또 다른 차이는 규모이다. 보통 정자보다 누각의 규모가 크다. 규모가 크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사람을 수용할 수 있다는 것. 정자가 혼자 관람용 건물이라면 누각은 함께 관람할 수 있는 건물이라 보면 된다. 따라서 산속 오지에 오두막 하나 짓고 세상과 떨어져 사는 사람이 누각을 지을 리 만무하다. 그래서 산속 깊숙이 있는 누정은 대개 정자일 확률이 높다.
그렇게 본다면 공산정은 누각인지 정자인지 확실히 구분이 안간다.
지난번 올렸던 제라회맹단지에 대한 해설이 세워저 있다. 기왕이면 단지가 세워져 있는 곳에 해설을 덧붙였으면 좋을텐데 아쉽다.
공산성 안에 장승이 해학적으로 표현된 것 같다.
공산성 위에서 본 금강과 다리.
금강 백제보가 수문을 열어서인지 물이 깨끗해지고 모래톱이 나타났다는 뉴스를 보았는데 이게 그런 것인지 궁금했다.
금서루 입구에 길게 세워진 비석군이다.
각양 각색의 비석들이 세워져 있다. 호랑이는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던가? 아무튼 좋은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워 놓은 것들을 보면서 후손들이 본받기를 바란다.
47기의 비석들 가운데 해설이 달린 비석은 단 2개에 불과하다. 내가 한문을 몰라서인지는 몰라도 한문을 모르는 세대에게 한글 해석이 필요할 것 같다.
비석을 옮기는 과정에서 거북모양의 받침은 없어졌다고 하니 얼마나 관리가 소홀했다는 것에 대한 반증이 아닐까?
홍수로인해 유실된 다리를 재건립했다는 사실을 기리기 위한 비석이란다.
약 200년이 넘은 세월이 묻어 있는 것 같다.
앞으로도 많은 후손들이 지키고 돌봐야 할 문화유산이 제자리에 원래 모습으로 재건되야 하는 것이야 말로 역사를 바로 세우는 일이 아닐까?
유난히 많은 깃발이 서 있고 크기도 다른 곳에 비해 많이 있다.
이런 해설이 많이 필요한것이 우리나라 문화재를 이해하고 배우는데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
공북루리고 한다. 최소한 저기까지는 갔어야 했는데 시간이 없어서 카메라 줌으로 많이 당겨 보았다.
공북루를 통하여 금강을 건너 다녔다고 한다.
공산성 건너편에 조성된 공원엔 여름이면 많은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려 찾아 오겠지?
공산성 밖에서 본 고목의 형태가 아름답다.
역사적 사실만으로도 충분한 구경거리요 문화재의 가치가 있는 곳이건만 꼭 이런 조형물들을 세워야 하는지 나 혼자 의문을 갖는다.
높은 성벽위로 다니는사람들이 위태롭기까지 하다. 현장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안전을 생각했으면 좋겠다.
'고적문화답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즈하라마치 시이네 이시야네~대마도식 돌지붕창고 (0) | 2018.05.09 |
---|---|
누각(樓閣)과 정자(亭子) 그리고 대(臺) (0) | 2018.05.08 |
제라회맹단지와 천정대 (0) | 2018.05.02 |
대마은혜교회 (0) | 2018.04.24 |
대마도 만제키세토 운하. 만관교 [만제키바시] (0) | 2018.04.21 |